--> 만나이 계산기 올해 한 번은 해봐야 하는 이유
재재의 자기계발 블로그
article thumbnail
반응형
 

2023년 들어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법은 만나이 통일법입니다.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법으로 법적인 문서에서 사용되면서 관련 기준과 불필요한 다툼 및 갈등이 없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도 빠른 년생부터 시작해서 계산하는 게 헷갈리기도 했는데 잘된 거 같아요. 마지막에는 쉽게 계산하는 방법도 넣어놨으니 참고해 주세요.

만나이 통일법

올해 6월 28일이 지나면 이제 더 이상 '한국식 나이'를 없애고 국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국제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3가지가 있는데 '세는나이', '만나이', '연나이' 이렇게입니다.

세는나이란 태어나서 1살이 되어 해가 지날 때마다 1살씩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만나이란 태어나서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연나이란 생일과는 무관하게 단순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를 빼서 계산한 방식입니다. 

연나이는 계산을 할 때 많이 사용한 것으로 익숙한 것 같습니다. 

 

이제 통일되어 바뀌게 되는데 적용되지 않는 곳이 몇 군데 있습니다.

바로 행정상, 법령상, 계약, 공문서와 같은 곳에서는 이미 적용되어 작성을 했기 때문에 변하는 게 없는데요. 

여기에는 국민연금 받는 시기, 정년퇴직 등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한 가지 불편한 점이 생기게 됩니다. 

바로 90년생끼리 생일이 지났느냐 안지 났느냐에 따라 한살이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반응

만나이 통일법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도 한살이 더 어려진다고 기뻐하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특히 94년생은 30대였었는데 다시 20대로 돌아가게 되니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더라고요. 

 

물론 그냥 똑같이 세월 흐르는 건데 무슨 의미냐면서 부정적인 반응도 있었습니다. 

숫자만 달라진 거라고 생각하면 그렇겠지만 20대 만의 열정을 가지고 다시 한번 무언가에 도전하는 결심을 가지는 사람들도 생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계산기

계산기에는 대표적으로 네이버 계산기가 있습니다. 

네이버에 검색 후 출생일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되어 알려줍니다. 

네이버 말고도 다른 곳이 있는데 여기는 다양한 정보들도 알려줘서 소개드릴까 합니다.

 

계산기 바로가기

 

나이 계산기

출생년도 또는 년월일을 입력하여 만나이와 한국나이까지 자세히 계산해 볼 수 있는 계산기입니다. 그리고 해당 나이에 대한 다양한 정보도 볼 수 있습니다.

superkts.com

 

들어가 보시면 아래와 같은 사진이 나올 텐데 입력하셔도 되지만 아래 생년월일까지 입력해서 보시는 게 더 정확합니다. 

1994년 1월 7일로 입력해 보면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데

맨 아래 보시면 기념일, 띠동갑, 음력, 삼재, 학교 등 다양하게 볼 수 있습니다. 

띠동갑은 위아래로 몇 년생이 해당되는지 나오기도 하며 내가 태어난 날을 음력으로 변환했을 때 날짜가 언제인지, 나의 삼재는 언제 인지, 가끔 누가 물어보면 맨날 헷갈리는 학교 입학이나 졸업 연도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삼재란? 

9년 주기로 3년의 재난을 겪게 된다고 해서 삼재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첫째 해부터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라고 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재난의 정도는 약해진다고 합니다.

 

1. 들삼재

사회, 가택, 이직, 이동, 잦은 고민 

2. 눌삼재

사업, 사회, 이혼, 이별, 연애, 사업에 대한 고민

3. 날삼재

금전, 여행에 대한 고민

 

심각하게 고민하지 마시고 재미로 봐주세요

 

반응형
profile

재재의 자기계발 블로그

@Trendy11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